[FARE] Inventory(재고) 원가에 포함되는 항목과 제외되는 항목 관련 문제 유의사항 Final 정리 (부제. 이 항목은 들어갈까 말까? 맞춰봐!)
[FARE] Inventory(재고) 원가에 포함되는 항목과 제외되는 항목 관련 문제 유의사항 Final 정리 (부제. 이 항목은 들어갈까 말까? 맞춰봐!) FARE 문제를 풀다 보면 꼭 나오는 Inventory 관련 문제가 있는데 바로 매입 원가 관련 정리 이다. Inventory(재고) 원가에 포함되는 항목과 제외되는 항목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하기에 정리해 본다. Inventory는 판매 가능한 상태로 재고를 만들기 위해 발생한 모든 비용을 원가로 포함한다. Inventory (재고원가) = 구매 가격 + 관련 직접 원가 + 필요한 가공 및 준비 비용 1. Inventory 원가에 포함 되는 항목 ㆍ구매 가격 (Purchase Price) : Supplier에 지급한 금액 (할인 차감 후 순액 기준) ㆍ수입 관세 (Import duties) : 수입시 발생한 세금 * 트럼프 미국 관세는 결국 재고가액을 늘린다! ㆍ비환급 판매세 (Non-Refundable Taxes) : 환급 불가한 매입 관련 세금 ㆍ운송비 (Freight-in) : 구매자가 부담한 입고용 운송비 (현업에서는 인바운드 물류비라 한다) ㆍ보험료 (Insurance on transit) : 운송중 물품 보험료 * FOB Shipping 조건에서는 운송중 해상물류비 부담은 구매자가 하는데 재고가액에 포함된다. ㆍHandling Costs : 입고 과정에서의 Handling 비용 ㆍ가공비 (Conversion Costs) : 제조 Manufacturer라면 제조시 발생하는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 등이 포함된다. ㆍ구매 할인 중 조건불이행으로 인한 할인 상실 : 조건을 못 지켜 할인 못 받은 경우 포함 2. Inventory 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 아래 비용은 재고가액에 가산되지 않음) ㆍ출고 운송비 (Freight Out) : 판매비로 처리함 (Selling expenses) ㆍ판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