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방법] 정액법 vs 체감법 vs 비례법 정의 및 특징 비교 (Straight Line vs Declining Balance vs Unit of Production Method)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vs 체감법 vs 비례법 정의 및 특징 비교 (Straight Line vs Declining Balance vs Unit of Production Method) 대표적인 감가상각법인 정액법/체감법/비례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특징을 먼저 보기 전에 나는 개인적으로 한글 표현보다 영어 표현을 먼저 보는 것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1. 정액법 (Straight Line Method) :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사용기간 동안 균등하게 분배 하는 법으로써 유형자산으로부터 내용연수동안 비용 영향이 일정한 특징을 갖고 있다. IT 비용이나 License 비용 등과 같은 비용에 적용할 수 있다. ㆍ 계산방법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사용기간 ex) 5년동안 사용할 자산의 취득원가가 10,000$이고, 잔존가치가 0이라고 가정하면 (10,000 - 0) / 5 = 2,000이므로 매년 2,000$씩 감가상각비 비용 처리 됩니다. 실무에서는 결산시 매월, 매일 단위별로도 감가상각비를 추정할 수 있는데 만일 1월의 감가상각비를 알고 싶다면 해당 월의 일수로 나눠주면 된다. 1월은 31일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1월에 170$이 비용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