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회계에서 자산 Depreciation(감가) 시 왜 DTL이 발생할까? (부제. DTA는 발생 안할까?)
미국 회계에서 자산 Depreciation(감가) 시 왜 DTL이 발생할까? (부제. DTA는 발생 안할까?) Deferred Tax를 공부하다 보면 습관적으로 외우는 것 중 Depreciation은 DTL로 구분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헌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DTL이 왜 발생하는 거지? DTA는 발생하지 않나?" 일단 DTL은 미래에 Taxable 되는 Temporary Difference로써 현재의 Favorable Difference이다. 즉, Tax Law 기준에서 당기에 Deduction 되는 금액이 GAAP의 tax expense보다 더 크다는 의미다.(Future Taxable Income > Future Prepaid Financial Income) "왜? 이렇게 판단하는 것일까?" 왜냐하면, 미국의 Tax Law는 Depreciation시 취득 후 내용연수 초반에 감가 상각이 많이 되는Modified Accelerated Cost Recovery System (MACRS)를 채택하고 있는데, GAAP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Straight Line Method 보다 감가 금액이 초반에 크기 때문이다. 즉, Depreciation Cost by Tax Law > Depreciation Cost by GAAP이기 때문에 초반에 taxable income을 줄여주는 임시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DTA는 발생하지 않을까? 초반 감가가 많을 수록 내용연수 후반으로 갈수록 Straight Line Method보다 작아지게 되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때는 반대로 DTA가 커지게 된다. (나중에 조금 더 공부해서 그래프로 설명해 보겠다... 언젠간...) # 참고자료 What are some examples of a deferred tax liability? Source. https://www.investop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