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FARE인 게시물 표시

채권(Bonds) 삼총사: Bond with Warrant, Convertible Bonds, Exchange Bond 차이점 (부제. 왓더 Detachable?)

채권(Bonds) 삼총사 차이점 ⓐ Bond with Warrant (BW)  ⓑ Convertible Bonds (CB)  ⓒ Exchange Bond (EB) 채권에서 많이 등장하는 파워풀한 삼총사(?) BW, CB, EB에 대해서 알아보자.  ⓐ Bond with Warrant (신주인수권부사채, 약어 BW)   채권(Bond)과 신주(New Stock) 인수권이 결합한 금융증권으로써 만기시 액면가액과 확정이자를 무조건 받고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까지 부여된 채권임 (지정된 기간에만 인수권을 행사 할 수 있음). BW를 구매함과 동시에 두 개의 증권을 갖게 되는데 하나는 Bond이고 다른 하나는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Warranty 증권이다. 그래서 Bond with Warrant라고 부르나 보다. (영어 이름을 보면 생각보다 많은 걸 알 수 있지만 대부분 흘려 보는 경우가 많은 듯 하다. 나 역시)   Investor는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만기 또는 지정된 기간까지 보유하여 원금 및 이자 수익을 낼 수도 있고, 동시에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부가 권리까지 갖게되는 장점이 있음. 이때 주식을 exercise 하기로 결정하였다면 additional하게 약정된 금액을 지불하여 주식을 구매할 수 있음. 이러한 특성 때문에 bond issuer 입장에서는 차입금을 maximize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카드임.   investor 입장에서는 약정된 채권 이자까지 받으면서, 주가 상황에 따라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파워풀한 증권임. 만기일에 신주권 행사를 하면 채권이 자본금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현금을 납입하여 주식을 취득하는 것으로 회계처리함. (한편, CB는 반대로 채무 → 자본으로 전환됨 차이 주의. 아...그래서 CB에는 Convertible이 붙는 거구나 하는 당연한 깨달음을 얻음)   BW는 이러한 부가 권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채무자 입장에서는 채무시장의 시장 이자율 보다 낮은 이자로 자

Transfers between Securities (T/S, AFS, HTM) (부제. 복잡해 보이는 건 외워버리자!)

이미지
Transfers between Securities  (T/S, Available For Sales, HTM)   단기매매증권(T/S)과 매도가능증권(AFS)가 변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시험 문제를 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 "음.. 그러면 변환되는 시점의 시가를 기준으로 단순히 변환하면 되나?", "아니야...뭔가 이전 효과는 모두 Reverse 치고 이전 시점으로 돌아가 새로운 형태로 회계처리 해야 하는거 아냐?" 이런 생각들이다.     그냥 내 생각은 그렇다. 시험에는 도움 안되는 이런 쓸데 없는 생각 집어치우고 아래 Rule을 그냥 외워서 쓰자 . 언젠간 이해될 것이다. 믿는다. (아님 말고) # Case by Case Summary # Case별 분개 예제 > Condition 가정 ㆍ취득가: 50K$ ㆍFV: 60K (at the date of transfer) 1. T/S → AFS Investment-AFS 60K    Investment-T/S 60K 2. AFS → T/S Investment-T/S 60K    Investment-AFS 60K OCI 10K                      Gain on T/S 10K 3. HTM → AFS    Investment-AFS 60K   Investment-HTM 50K                                      OCI 10K                                       ※ Unrealized holding gain → OCI 4. AFS → HTM Investment-HTM 60K   Investment-AFS 60K OCI XXX                      Unrealized holding Gain XXX ※ OCI Reclassification  Amortization # 케이스별 상세 영향 1. Transfer from trading securities to available for sa

단기매매증권(Trading Security)와 매도가능증권(Available For Sales) 상황별 회계처리 비교 (부제. 이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이미지
단기매매증권(Trading Security)와  매도가능증권(Available For Sales)  상황별 회계처리 비교   회계 공부를 처음 시작하면서 접하게 되는 단기매매증권과 매도가능증권 사실 잘 구분이 안 됐다. 구분이 안됐다기 보다는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구분할 수 없었던 것이겠지... 이걸 찾아보는 사람의 마음 백번 이해합니다.    하여튼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해보자. 둘은 일단 보유 목적이 확연히 다르므로 당연 회계처리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보자. 1. 단기매매증권      (Trading Security)             ※ 단기적인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구매한 유가증권                    (구매시부터 단기시세차익 의도가 있었다면 채권, 주식도 T/S로 구분) ㆍ특징    ⓐ 취득부대비용은 별도로 당기비용 처리    ⓑ (FV 기준) 단기매매증권 평가 이익/손실은 I/S로 Go!    ⓒ (FV 기준) 단기매매증권처분 이익/손실은 I/S로 Go!    ⓓ 처분 수수료는 처분가액에서 차감    > 취득시 매입가액만 취득원가 처리  ※ 취득부대비용은 당기비용(경비 900번대) X1년/1/1 단기매매증권 $30 구매, 수수료 $5 가정 단기매매증권 $30      현금 $30 매입수수료       5      현금    5  > 보유시 배당금 수익 발생 현금 $6    배당금수익 $6 > 기말 평가시 FV으로 평가하여 매년말 I/S상  단기매매증권평가 이익 또는 손실로 분개  ※ Gains(or losses) on valuation of trading securities X1/12/31 해당 주식 FV $50가정 시  (X1/1/1 취득시 장부가액 $30) ex) 단기매매증권 $20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20                                                             ※ I/S에 반영   > 처분시 단기매매증권처분 이익

[Inter] Inventory COGS 결정을 위한 계속기록법(Perpetual) 및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비교

[Inter]  Inventory COGS 결정을 위한  계속기록법(Perpetual),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비교   매출원가를 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재고가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판가에서 매입부대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금액은 재고가이기 때문에 재고가 측정 방식에 따라서 매출원가의 결과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US GAAP에서는 ① Perpetual Method(계속기록법), ②Periodic Method(실지재고조사법)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실무에서는 대기업 같이 Perpetual method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월말/연말에 재고실사를 통해 보완하는 Combination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당연히 정확한 매출원가가 나오게 되지만 시스템 설치비, 재고실사비 등 인건비가 높악지게 된다. ① 계속기록법(Perpetual Method)   매입과 매출시 재고입출입을 실시간으로 기록해 나가는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현재 기말재고 및 매출원가를 알 수 있는 방법 (COGS 기록 → 기말재고 추정)   매입이나 판매시 매입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Inventory에 직접 기입해나가면서 실시간으로 매출원가를 대체해나가기 때문에 기중에도 매출원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Inventory In / Out을 관리하면서 재고가 얼만큼 남았겠구나 알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적정재고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장점도 있지만, 추정을 하기 때문에 창고에서 발생하는 도난, 파손, 제조손실 등의 영향은 재고실사를 하기 전까지는 알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반면에 실시간 재고를 관리해 왔기 때문에 원자재 및 완제품 Movement를 분석해 보면 어느 책임 Area에서 발생한 실사차인지, 도난인지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Perpetual에서 쓰는 평균법은 Moving average라고 부른다. 기초재고가액+당기재고매입액-당기매출원가액(장부상) = 기말재고액 ※ 문제 풀이 Tip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