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0의 게시물 표시

파생상품 개요 (Financial Derivatives) (부제. 파생상품 유형별 차이)

파생상품 개요 (Financial Derivatives)  (부제. 파생상품 유형별 차이) 파생상품이란 외환, 예금, 채권, 주식 등가 같은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된 금융상품을 이야기 한다.  - 두산백과사전 -  # 전통적 투자자산 및 파생상품   부동산을 제외한 대표적 전통 투자자산은 채권(Bonds), 주식(Stocks)으로써 유가증권(Securities)라고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채권은 만기 보유 시 약정된 이자와 원금을 받는 것이고, (우선주를 제외) 주식은 투자회사의 지분율을 획득함으로써 주주가 되고 지분율에 따라 경영에 참여할 수도, 그에 따른 경영 성과를 바탕으로 배당금을 수령할 수도 있다. (오드리햅번 주연의 1954년 개봉된 영화 'Sabrina'에서 미국의 부자 형제를 통해 지금 처럼 미국은 주식을 활성화 했다는 사실을 보고 충격에 빠졌었다.)   이에 반해, 파생상품은 기존 전통자산의 헷지(hedge)적인 측면에서 새로 만든 투자 자산이며, (Option을 제외) 양사자간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Underlying Asset을 구매 / 판매  Obligation으로 명시하여 계약함으로써 거래가 성사된다. Option은 이자와 같은 댓가를 주는 대신 Default 상황에 원금을 주는 계약으로 양자간이 아니라 매수 call하거나 매도 foot하는 one side obligation을 계약함으로써 말그대로 상황에 따라 옵션으로 구매를 할수도 안할 수도 있는 조금 결이 다른 파생상품이다. # 파생상품 4가지 ⓐ Forward (선도)     : 거래 당사자들이 외환, 예금, 채권, 주식 등의 (전통) 자산을 계약된 가격 및 시점에 인도하기로 거래 계약함 ⓑ Future (선물)     : 양사자간 계약에 의거 특정상품에 대하여 계약된 수량을 증권거래소의 걸정된 가격으로 미래 특정 일자에 매도나 매수할 것을 계약함   ⓒ Swap (스왑) ...

(링크) Statement of Cash Flows - Categories for Classifying Cash Transactions

https://fmx.cpa.texas.gov/fmx/pubs/afrrptreq/gen_acct/index.php?section=cash_flow&page=classifying  

Net Operating Loss의 산식과 의미하는 것 (부제. 이월결손금은 언제까지 공제될 수 있을까?)

Net Operating Loss의 산식과 의미하는 것  (부제. 이월결손금은 언제까지 공제될 수 있을까?)   Net Operating Loss(약자 NOL)은 순영업손실이라는 의미로써 Deductible Amount가 Taxable Income 보다 큰 경우, 쉽게 말해 손금이 익금보다 커 Net으로 손실이 난 재정상태를 의미한다. 사실 세법은 비용보다는 주식과 같이 자본금의 성격이 강해 Profit을 Share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만일 NOL 발생한 연도는 국가는 세금을 걷지 않고, 미국 세법상 그 결손금 또한 영원히 이월 시켜 차년 Taxable Income에서 제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이월시킨 결손금을 이월결손금(Net Operating Loss Carryforwards)라고 말한다. 다만, 한번에 100% deduction은 불가능하고 잔액이 다 소진될 때까지 매년 미래 각 사업년도의 당기순이익의 80%까지만 결손금으로 공제할 수 있다. 예를들어 X1년도 200의 결손금이 발생했고, X2년도 100의 Net Income을 만들었다면, 80까지는 X1년도 결손금을 적용하고 나머지 20은 그 이후에나 공제가 가능한 것이다.  ※ '18. 1월 이전에는 결손금 발생일로부터 2년전 납세금에서 당해 결손금을 Refund 받을 수도 있었으나 '18. 1월 Tax Cuts and Job Acts가 발효되면서 제거 되었다고 한다(하기 링크 참조). 이 Act를 기준으로 과거 20년 이었던 이월기간은 Indefinite으로 개정 되었다고 한다.   국가가 세수를 확대하기 위해서 기업과 가계를 지원을 하는 것은 사실 각 경제 주체가 경제 활동으로 수익을 내면 그것을 다시 세수로 확보하여 재정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 참고자료 https://www.investopedia.com/terms/n/netoperatingloss.asp#:~:text=Prior%20to%20the%20impl...

미국 회계에서 EBITDA가 의미 하는 것은? (부제. 공식 및 의미 하는 것)

미국 회계에서 EBITDA가 의미 하는 것은?  (부제. 공식 및 의미 하는 것)   일단 약자의 정의 부터 보자.     ※ 주의 미국 GAAP에서는 EBITDA는 required된 공시 정보는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그냥 정보이용자(투자자) 관점에서 참고 자료일 뿐이다.  EBITDA = E arnings  B efore  I nterest T axes and  D epreciation A mortization     의미를 해석해 보면 이자와 세금을 지급하지 않고 감가상각비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했을 때 이익 규모를 측정하는 성과지표가 EBITDA이다.  결국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등의 영향을 제거한 후 기업들의 성과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지표이다. (특히 법인세율은 나라마다 천차 만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회계에서 어느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이야기 할때 제일 많이 이야기 하는 것이 매출과 당기순이익(Net Income)일 것이다. 영업 활동을 돈을 벌었던, 비영업을 통해서 돈을 번게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현대 그룹이 한전 부지를 비싸게 주고 샀다고 비판받기도 하지만 만일 재 판매시 많은 수익을 냈다면 비판은 쏙 사라지게 될 것이다. 자동차를 판 돈(영업)이나, 부동산(비영업) 매각을 통해 판매한 돈이나 매한가지 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EDITDA 역시 두가지 버젼이 있는데, 일단 공식의 차이를 비교해 본 후 설명을 들어보자. 버젼 ①은 당기순이익 기준이고, 버젼 ②는 영업이익 기준인데, 둘의 차이의 본질은 비영업 성과가 Earning에 포함됐는냐(버젼 ①) 아니냐(버젼 ②)이다. 이건 정보이용자(투자자)의 시각에 따라 다를 것인데, 어느 투자자는 위의 현대 그룹 예에서 차를 파는 것(영업 활동)이 제일 중요하다라고 볼 수도 있고, 방법이야 어떻든 돈만 잘 벌면 된다(부동산 매각 차익...

미국 회계에서 자산 Depreciation(감가) 시 왜 DTL이 발생할까? (부제. DTA는 발생 안할까?)

 미국 회계에서 자산 Depreciation(감가) 시  왜 DTL이 발생할까? (부제. DTA는 발생 안할까?)   Deferred Tax를 공부하다 보면 습관적으로 외우는 것 중 Depreciation은 DTL로 구분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헌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DTL이 왜 발생하는 거지? DTA는 발생하지 않나?"   일단 DTL은 미래에 Taxable 되는 Temporary Difference로써 현재의 Favorable Difference이다. 즉, Tax Law 기준에서 당기에 Deduction 되는 금액이 GAAP의 tax expense보다 더 크다는 의미다.(Future Taxable Income > Future Prepaid Financial Income)   "왜? 이렇게 판단하는 것일까?"   왜냐하면, 미국의 Tax Law는 Depreciation시 취득 후 내용연수 초반에 감가 상각이 많이 되는Modified Accelerated Cost Recovery System (MACRS)를 채택하고 있는데, GAAP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Straight Line Method 보다 감가 금액이 초반에 크기 때문이다. 즉, Depreciation Cost by Tax Law > Depreciation Cost by GAAP이기 때문에 초반에 taxable income을 줄여주는 임시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DTA는 발생하지 않을까? 초반 감가가 많을 수록 내용연수 후반으로 갈수록 Straight Line Method보다 작아지게 되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때는 반대로 DTA가 커지게 된다. (나중에 조금 더 공부해서 그래프로 설명해 보겠다... 언젠간...) # 참고자료  What are some examples of a deferred tax liability? Source.  https://www.investop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