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 Stock Subscriptions 회계처리

Conditions 1. 1,000 Shares 2. Sales price $100 3. Par value $25 > 청약시 (Sale of Subcriptions) Subscriptions receivable  100K                   Common Stock subscribed 25K                   APIC                                        75K > 잔금납입시 (Collection of Subscriptions)     현금 90,099만 납부 가정 Cash 90,099                   Subscriptions Receivable 90,099 > 주식발행시(Issuance of Stock) Common Stock subscribed  22.5K                   Common Stock  22.5K

Declaration, Record, Payment 상황별 Dividends 회계처리 (Cash / Property / Scrip / Liquidating 배당 분개)

Declaration, Record, Payment 상황별 Dividends 회계처리  (Cash / Property / Scrip / Liquidating 배당 분개) # Cash Dividend 잘 정리된 사이트 https://courses.lumenlearning.com/suny-finaccounting/chapter/entries-for-cash-dividends/ #1. Cash Dividend 분개 > Date of Declaration    ※ 이사회 결의하여 배당금 지급 결정한 순간 Retained Earnings  XXX      Dividends payable  XXX ※ 자본↓, 부채↑ > Date of Record    ※ 배당금을 지급받을 주주 명단 작성 No journal entry > Date of Payment    ※ 배당금을 지급한 순간   Dividends payable  XXX    Cash  XXX  #2. Property Dividends 분개         ※ 재고, 투자증권 등 > Date of Declaration    ※ 배당으로 분배 예정인 Property는 공정평가함과 동시에       그로 인한 Gain 또는 Loss도 같이 손익계산서상 기록해야 함 Retained Earnings  XXX      Property Dividend Payable  XXX > Date of Record No journal entry > Date of Payment Property Dividends Payable  XXX  ...

[ADV] 자기주식 회계처리 (Treasury Stock), 기업은 왜 하는가? (부제. Method별 회계처리)

이미지
자기주식 회계처리 (Treasury Stock),  기업은 왜 하는가? (부제. Method별 회계처리)   자기주식 취득(reacquire)은 말 그대로 자기 회사 주식을 다시 사는 것을 말한다. 일반 주식 취득과는 다르게 주식을 샀다고 해서 자산이 되는것도 아니고 자본 계정이 되고, 갖고 있다고 해서 배당금을 받거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자본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자기 주식을 구매한 가격보다 비싸게 팔았다고 수익(또는 손실)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 그런데 기업은 왜 자기주식을 취득할까?    기업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주식 취득을 진행한다.   ⓐ 임직원 보너스용으로         주식 재발급(reissue)하기 위해    ⓑ Earning Per Share를 높이기 위해   ⓒ 주식 가치를 높이기 위해   ⓓ 타회사 취득을 위해    ⓑ, ⓒ에 해당하는 케이스는 '20. 3월 코로나 바이러스로 주가가 곤두박질친 보잉(Boeing)사의 케이스를 보면 됩니다. '20. 5월 현재 보잉사는 현금 보유율이 거의 없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데 나중에 원인을 살펴보니 여태까지 수익이 생기면 자사주 취득을하여 EPS를 높였던 거죠. 당연 자사주를 사는만큼 주식도 높아지니 일석이조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우리 나라 경우는 반대로 수익이 발생하면 미래를 위한 준비금 명목으로 대부분 유보금처리하고 배당을 거의 하지 않는 경우도 있죠. 당연 주주 입장에서 배당을 받고 주가가 높으면 좋겠지만, 이런 코로나 상황에는 대응이 되지 않는거 보면 너무 과하게 자사주 매입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철밥통(?)인 비행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보잉사는 코로나와 같은 상황을 예상을 못하고, 주주의 가치를 회사의 안전보다 최우선을 하게된 결과를 가져온 것이죠...

[ADV] Cash Method(원가법)과 Equity Method (지분법) 회계처리 비교 (부제. 지분율에 따른 회계처리)

이미지
[ADV]  Cash Method(원가법)과  Equity Method (지분법) 회계처리 비교   기업 지분율을 얼만큼 보유하느냐에 따라서 회계처리도 달라지게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 처럼 20%까지는 원가법, ⓑ 처럼 50%까지는 지분법, ⓒ 처럼 50% 이상 100%까지는 취득법이라는 회계 틀이 달라지게 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원가법 (Cash Method)      : 일반 적인 개미 매수자들 처럼 배당 소득 또는 양도소득차를 원하는 부류에 적용하는 회계처리이다. 배당금 수령에 따른 인식과 매년 시가 평가를 하여 회계 처리한다.   ⓑ 지분법 (Equity Method)      : 20% 이상의 보통주식(Common Stock)을 갖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경영활동에 유의적인 영향력(Significant Influence)가 있다고 판단되어 자회사의 Net Income/Loss 발생시 지분율 만큼 Investment가 증감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자산의 FV 평가는 하지 않는다. 자회사의 순손익을 보유지분만큼 보회사의 경영실적에 반영한다.   ⓒ 취득법 (Acquisition Method)     : 50% 이상의 보통주를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때는 보유에 대한 범위가 더 넓어져 자회사의 Net Asset을 보유한다고 보면 된다. 신문에서 흔희 51:49 지분으로 합작 투자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에는 2% 차이지만 회계적으로는 취득법/지분법으로 나뉘는 큰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된다.     # 원가법과 지분법 회계처리 비교 Cost method( 원가법 ) ※ Cash Basis Equity method( 지분법 ) ※ Accrual Basis Upon acquisition (지분 취득시)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