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금융상식인 게시물 표시

이체시 Arch와 Wire Transfer의 차이점 및 장단점 (사이트 추천)

[금융상식] 이체시 Arch와 Wire Transfer의 차이점 및 장단점 1. 공통점   ㆍ 계좌이체 2. 차이점    ㆍ Wire: 계좌간 직접, 즉시, 국내외 허용, 고비용    ㆍ Arch: 그룹계좌, 몇시간 또는 수일 걸림, 미국내 이체만 허용, 저비용 # Arch와 Wire Transfer의 차이점을 잘 설명한 사이트 https://tipalti.com/ach-vs-wire/

Note Receivable / Note Payable 어음 회계처리 정리 (부제. 어음 예시, 현재가치, Discount, Premium 알아보자)

이미지
Note Receivable / Note Payable 어음 회계처리 정리  (부제. 어음 예시, 현재가치, Discount, Premium 알아보자)   Note Receivable은 채권자-채무자 간 Date를 설정하여 액면 금액과 이자를 주는 것을 약속하는 Written Promise를 말한다. Note에는 채무자(Maker)와 채권자(Payee)가 기재되어 있으며 아래 interest bearing note format을 보면 알겠지만 이자율을 포함하여 언제 돈을 줄지 알 수 있는 영수증이라고 보면 된다.     반대로, non-interest bearing note는 액면가액에 이자 금액이 포함되어 있고, 이자율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무이자부 어음이라 한다. (zero interest bearing note라고도 함)   당연히, Note를 발행할 때 Face Amount로만 인식하는 단기간 (1년내) N/R 일수도 있고, 장기간 (1년 이상)일 수도 있는데 note date 기준 만기 기간이 1년이 넘게 되면 GAAP에 의해 어음 지급/수령 여부와 상관없이 명목가치가 이자와 액면금액의 현재가치합으로 평가해야 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현재가치(PV, Present Value)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장기 N/R 발행 인 경우, 발행 당시 Stated Interest Rate과 Market Interest Rate를 비교한 후 Premium 발행인지, Discount 발행인지 구분할 수 있다. 만일 Stated Interest Rate > Market Interest Rate이라면 Premium 발행을, 반대로 Stated Interest Rate < Market Interest Rate이라면 Discount 발행이라 구분할 수 있다. (같다면 Face Amount 발행이다.) # 현재가치 (PV)는 미래 가치로 늘려줘야 한다   만일 먼 미래에 100을 지급해야 하고, 이 어음의 이자 및 액면가의 현재가치가 90이라고 가정하면,

[회계기초] 복식부기(Double Entry Book Keeping)와 계정 간단하게 이해하기

복식부기(Double Entry Book Keeping)와 계정 간단하게 이해하 기   회계상의 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기록하는 수단이 복식부기(Double Entry Bookkeeping)이다. 복식부기란 회계적사건 또는 거래에 대해 최소한 두 개의 계정을 기록 하는 회계 체계를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계정은 회계학에서 배우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에서 발생하는 계정에서 발생하는 계정을 말합니다. 크게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서 기입하여 계정간 이동하면서도 대차의 Balance를 맞춰 나가면서 관리하게 된다.  ※ 왼쪽을 차변(Debit), 오른쪽을 대변(Credit)이라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예전에 대차대조표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 영어로는 Balance Sheet이 대차대조표를 말한다. 대차라는 말이 도대체 왼쪽이야 오른쪽이야 헛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나는 그냥 "(자동)차는 왼쪽에서 운전하니까"라고 외운다.  (차변 Debit)  계정과목    XXX(금액)            (대변, Credit)  계정과목  XXX(금액) # 계정의 구분   계정은 크게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 계정들은 실질(영구) 계정 (Permanent Account)와 명목(임시)계정(Temporary Account)로 나뉠 수 있다. - 실질(영구) 계정 : 재무상태표 - 명목(임시) 계정 : 손익계산서, 배당금계정, 집합손익계정   혹시 Stock과 Flow 개념을 들어본적이 있는가? 필자도 사실 과거에 대학교 강의 들으면 Stock과 Flow에 대해서 들어봤는데 회계 공부를 하고서야 이제야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Stock은 영구 계정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단어 의미대로 '쌓인' 자산, 부채, 자본의 의미한다.    반대로 손익계산서는 Flow 개념을 사용하는데 단어대로 '흘러간' 의미인데, 수익과 비용은 회계년도마다 Net Income/Loss는 자본계정의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