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별 객관식 문제은행 사이트 추천 (링크)

http://www.accountingmcqs.com/papers/Deferred-Tax-paper-4

Percentage of Completion VS Completed Contract Method (부제. Long Term Construction 회계처리)

Percentage of Completion  VS  Completed Contract Method (부제. Long Term Construction 회계처리) ※ 아래 내용은 모두 Farhat's 유툽 영상을 이해한 후 정리 한 것임      (영상을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Percentage of Completion란?   장기(Long Term) 프로젝트 공사/인프라 건설 등에 수익과 비용 인식이 진행결과(progress)에 따라 인식하는 것을 말함. 당연히 수익/비용 발생과 진행상황간 관련성이 아주 높아야 함 → 계약에 명시된 Progress에 따라 수익/비용을 단계적으로 인식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 해야 함 ⓐ 고객과 건설사는 계약서상 시행 가능한 제품 또는 서비스, 대가의 교환, term에 대한 합의를 구체화 해야함 ⓑ 고객사는 계약서상 의무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함 ⓒ 건설사는 계약서상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 Completed Contract Method란?  단기(Short Term) 계약시 의무를 이행 완료된(판매) 시점을 기준으로 수익을 단 한번에 잡는다. 그리고 비용을 모아나가지만 중간에 손익계산서 매출, 비용, 손익에 영향을 주는 청구나 크레딧을 잡지는 않는다. (이때까지는 B/S상 자산과 부채에만 영향 미침) → 계약에 명시된 의무를 completed 했을 때 수익/비용을 한번에 인식 언제 사용해야 하나? 아래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된다. ⓐ 단기계약인 경우 ⓑ 위의 Percentage of Complete method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 일반적인 상황이나 비즈니스 리스크를 벗어난 고유위험이 계약에 존재하는 경우 #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나의 생각   원가를 계산해야 하는 실무적인 회사 입장에서는 대체적으로 1년 단위로 수익을 기록해야 유리하다. 그래야 수익이 나고 주주들이 봤을 때  해당 회계기간에 수익이 났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