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ss profit margin VS Net profit margin 비교

<Margin> Gross profit margin VS Net profit margin 비교   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둘의 공식을 먼저 봐야 한다. ① Gross Profit = Net Revenue - COGS ② Net Profit(Net Income) = Net Revenue - COGS - Operating and Other expenses - Interest - Tax   공식을 보았는가? ① Gross Profit은 순매출(Net Revenue)에서 매출원가(COGS)를 뺀 금액이다. ② Net Profit은 우리가 흔히 먼저 접하는  당기순이익(Net Income) 과 동일하다. 여기에 Gross Profit Margin은 Gross Profit을 Net Revenue로 나눈결과로서 순매출당 발생하는 Gross Profit의 비율이다. Net Profit Margin역시 Net Revenue로 나눈결과로서 순매출당 발생하는 Net Profit(Net Income)의 비율이다. ⓐ Gross Profit Margin= (Net Revenue - COGS) / Net Revenue ⓑ Net Profit(Net Income) Margin=  ( Net Revenue - COGS - Operating and Other expenses - Interest - Tax ) /   Net Revenue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수치에 판관비, 기타부대 수익 및 비용, 법인세가 고려됐느냐(Net Profit) 안되었느냐(Gross Profit) 이다.   결국 투자자나 경영자가  ⓐ Gross Profit Margin,  ⓑ Net Profit(Net Income) Margin 의   비율을 비교하는 목적이 다르다.   수치별로 장단점이 있는데 Gross Profit Margin 경우...

[Inter] Inventory COGS 결정을 위한 계속기록법(Perpetual) 및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비교

[Inter]  Inventory COGS 결정을 위한  계속기록법(Perpetual),  실지재고조사법(Periodic) 비교   매출원가를 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재고가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판가에서 매입부대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금액은 재고가이기 때문에 재고가 측정 방식에 따라서 매출원가의 결과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US GAAP에서는 ① Perpetual Method(계속기록법), ②Periodic Method(실지재고조사법)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실무에서는 대기업 같이 Perpetual method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월말/연말에 재고실사를 통해 보완하는 Combination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당연히 정확한 매출원가가 나오게 되지만 시스템 설치비, 재고실사비 등 인건비가 높악지게 된다. ① 계속기록법(Perpetual Method)   매입과 매출시 재고입출입을 실시간으로 기록해 나가는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현재 기말재고 및 매출원가를 알 수 있는 방법 (COGS 기록 → 기말재고 추정)   매입이나 판매시 매입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Inventory에 직접 기입해나가면서 실시간으로 매출원가를 대체해나가기 때문에 기중에도 매출원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Inventory In / Out을 관리하면서 재고가 얼만큼 남았겠구나 알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적정재고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장점도 있지만, 추정을 하기 때문에 창고에서 발생하는 도난, 파손, 제조손실 등의 영향은 재고실사를 하기 전까지는 알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반면에 실시간 재고를 관리해 왔기 때문에 원자재 및 완제품 Movement를 분석해 보면 어느 책임 Area에서 발생한 실사차인지, 도난인지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Perpetual에서 쓰는 평균법은 Moving average라고 부른다. 기초재고가액+당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