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t Certificate Redemption 회계처리 (부제. 리뎀션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회계처리 하나?)

Gift Certificate Redemption 회계처리 
(부제. 리뎀션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회계처리 하나?)


  마케팅에서 사용하는 방법 중 리뎀션 (Redemption)이라는 것이 있다.  영어로 Redemption은 「상환」이라는 의미인데 돈/상품/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 돌려준다는 의미이다.

  예를 먼저 설명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가장 흔히 보는 경우는 마트에 갔을 때 계산대에 있는 Netflix 멤버쉽 카드 또는 스타벅스 이용권 등을 볼 수 있는데, 이걸 사서 지인들에게 선물로 주기도 한다. 다른 경우를 보면 조금 더 복잡한 경우지만 만일 최신 휴대폰을 구매하면 통신사에서 Gift Certificate Redemption 를 주는 경우가 있다. 특정 휴대폰을 사면 아마존 1년 멤버쉽 회원권 (대략 100불)을 할 수 있는 Certification을 제공하는 등 마케팅 활동으로 활용된다. 이것 또한 다른 형태의 Redemption이다.

  이러한 리뎀션은 생각보다 마케팅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리뎀션에서 주의할 것은 Gift 신청 및 혜택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자세한 조건이 Certification에 적혀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서 휴대폰을 구매할 때 통신사에서 지금 산 고객들은 몇월 몇일까지 리뎀션을 해야 하고 그 이후기간은 신청할 수 없다(lapse 또는 breakage)는 것을 정확히 명시해줘야 한다.

  이러한 상황때문에 회계처리에 있어서도 부채 및 수익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 경우에 따른 분개

  가장 흔한 경우인 스타벅스 Gift Card 리뎀션을 기준으로 가정해 보자.

Gift 카드를 판매한 스타벅스 입장으로 회계처리 해보자.


1. Gift Card 판매시

> 판매한 대금 만큼 미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부채로 잡는다.

   Cash 100$     Gift Card Liability 100$

                              * redemption 미결시 deferred revenue가 된다



2. 선물 받은 Gift Card로 커피 50$ 사먹음

   Gift Card Liability 60$     Revenue 60$

    *고객에 의해 redeem이 완료되면 의무를 이행했기 때문에

      부채는 Revenue로 바뀐다 



3. Card에 만료기간이 있는 경우

    어느 Gift 카드에는 Redemption할 수 있는 기간이 설정되는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expire 유무에 따른 회계처리를 할 수 있다.


  3-ⓐ 카드가 expire된 경우

      위 2번의 경우에서 만일 사용후 잔여 40$ 스타벅스 카드가 만료됐다면 회사 입장에서는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다.

   Gift Card Liability 40$     Revenue 40$


  3-ⓑ 위의 경우도 아니라면 Breakage!

  기프트 카드를 갖고 있는 고객들이 redemption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이 있느냐고? 생각 보다 아주 많다. 많은 사람들이 잃어버리거나, 잊어버리거나, 큰 돈이 아니라 버리기도 하고...) 이럴 때는 스타벅스 회사는 합리적으로 추정해야 한다. 만일 스타벅스 카드에 expire 기간이 없는 경우는 영원히 부채로 가져갈수는 없으니 말이다. 과거 경험치를 참조해서 1년 동안 10%는 리딤을 하지 않는 데이터가 있으면 이 수치를 기반으로 부채를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다. 

   Gift Card Liability 4$     Revenue 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