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 Write off VS Allowance Method 차이 (부제. 대손 충당 방식에 따른 상황별 분개 차이)
대손 Write off VS Allowance Method 차이
(부제. 대손 충당 방식에 따른 상황별 분개 차이)
그래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회계처리를 해야 한다. 바로 대손상각비용을 인식하는 것이다. 인식의 기준은 대게 과거 손실내역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추정을 하게 된다. 예를들어 2019년도 A고객과 비즈니스를 해보니 3% 돈은 못 받았다고 하면, 2020년도에도 3%를 대손상각비로 인식하면 된다.
대손상각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 있는데, Allowance와 Write off 방법이다. 이 둘중 Write off method는 US GAAP에서 인정하지 않으며 연방에서 세금을 떼이는 경우만 예외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는 기업회계에서는 Allowance method를 사용한다.
Allowance는 '주머니'라는 의미로 보면 되는데 현재 매출채권 기준 과거 대손 결과 내역을 감안하여 추정한 대손상각비(위 예제 3%)를 기준으로 bad debt expense를 비용처리 해 나가면서 동시에 동일한 금액을 Allowance에 넣어 놓고 추후 대손이 확정(돈을 못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때) 매출채권을 줄여주는 것을 Allowance method라 한다. 이게 커질 수록 A/R을 줄여줄 수 있는 Contra Asset이다.
반면, write off method는 allowance 설정 없이 상황을 고려한 경영자 의사 결정에 의해 바로 매출채권을 줄이는 행위이다. 여기서 보면 알겠지만 일전에 대손상각비를 기준으로 충당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 전에부터 있었던 potential한 bad debt은 비용처리 되지 않았고 경영자 의사결정 순간에 비용처리 되어 버린다. 이는 첫번째로 중요한 회계원칙인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에 위배된다. 이로인해 다른 중요한 회계원칙인 비용은 즉시 반영, 수익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보수주의 또한 위반되게 된다. 그동안은 bad debt이 고려되지 않은 overstated된 자산(A/R)을 보고받은 셈이기 때문이다.
* A/R - bad debt estimation amount = Cash Realizable Value
일단 설명이 길었다. 설명으로 이해되지 않은 분들은 분개를 통해서 명확히 이해해 본 후 다시 읽어 보시길 바란다.
# Write off method 분개
Bad Debt expense XXX A/R XXX
→ A/R을 바로 까버림
# Allowance method 분개
(가정 Estimation bad debt 3%)
> 만일 매출 $1,000이 발생했다면,
Bad Debt expense 30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30
> 만일 거래선 부도로 15의 대손이 확정된다면,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15
A/R 15
> 만일 충당하지 못한 50의 대손이 확정되면,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15
**Bad debt expense 35
A/R 50
** 이미 충당해놨던 allowance는 15밖에 없으므로 부족한 금액 35는 즉시 bad debt expense로 처리를 한다. (보수주의에 의거 확정된 비용은 바로 write off 해준다)
> 만일, allowance가 수정전 시산표상 debit 잔액 80이 있었고, Aging Schedule상 신규 예상되는 Estimation allowance for doubtful이 240이 되야하는 경우 Adjusting Entry를 작성하시오
Bad Debt expense 320(80+240)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320
→ 이 결과 allowance는 240(320-80)이 되야 한다.
> 반대로, allowance가 수정전 시산표상 credit 잔액 80이 있었고, 신규 예상되는 Estimation allowance for doubtful이 240이 되야 하는 경우는?
Bad Debt expense 160(240-80)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160
→ 이 결과 allowance는 240(80+160)이 되야 한다.
> 만일, 7/1 파산 뉴스를 보고 돈을 못받을 줄 알고 이미 write off 처리 했지만 한달 후 기사회생 했다는 기사가 나며 50을 다시 받았을 때
ⓐ Allowance method인 경우
A/R 50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 50
→ 현업에서는 이 과정을 reverse라 한다
Cash 50
A/R 50
ⓑ Write off method인 경우
Cash 50
Uncollectible accounts recovered 50
→ 이때는 revenue account로 바로 간다
# 시험 대비 외우면 좋은 패턴
Allowance 범주 안에서 Write off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각 아래에 영향은?
1. Net Income
2. Total Asset
Write off 했던 10불이 기사회생하여 입금되었다고 가정하자,
3.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4. Account Receivable
아래에 답 확인 (Scroll down)
답.
(위의 분개를 참조하세요)
1. 영향없음
2. 영향없음
3. 증가
4. 영향없음
많이 배우고 갑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답글삭제아닙니다.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많이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계속 업데이트해서 탄탄한 지식 만들어 가려구요! 파이팅 하시죠
삭제